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회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정말 많은 분들이 주식투자를 하고계실텐데요. 우리가 거래하는 주식을 발행하는 그 회사 "주식회사"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알고계신가요 ? 주식회사의 주주로서 어떤 권리와 책임을 가지게 되는 한번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주식회사의 뜻
주식회사는 한마디로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금을 충당하는 회사” 입니다.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거래하는 주식들은 각 회사에서 발행된 것입니다.
주식을 발행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발행한 주식을 산 주주들은 회사에 의사결정권을 갖게 됩니다. 주주에게 주식이란 회사 주인 증명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사 규모가 커질수록 개인 혹은 집단의 자본금만으로 해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즉, 주주들의 돈을 가져다 쓰는 대신 그 대가로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권리를 나누어주는 것입니다.
주식의 개념을 정리하자면, 주주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세분화하여 발행하는 것이고, 주주는 이러한 주식을 구매한 만큼 책임을 지게 됩니다. 주주가 이러한 책임을 지는 회사를 주식회사라고 합니다.
주식회사 : 주식으로 세분화된 일정한 자본을 갖는 주주들로 구성된 회사
2. 주식회사와 다른 회사의 비교
대한민국의 상법 170조에서 정의하는 회사의 유형은 총 5가지입니다.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 유한회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합명회사는 무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됩니다. 무한책임이란 각 개인의 출자액 이상으로 회사의 부채에 대해 변제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한책임을 지는 합명회사의 사원들은 회사에 대한 상당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현실적으로, 합명회사는 대부분 소규모 회사로 운영됩니다.
무한책임과 반대되는 개념이 유한책임입니다. 유한책임은 회사가 지는 빚에 대해 출자액의 한도 내에서만 책임을 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돈 낸만큼만 책임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합명회사가 무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다면,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 모두를 포함하는 회사가 합자회사입니다.
반대로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되는 회사가 바로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입니다. 주식회사의 유한책임사원은 주주라고 부릅니다.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의 차이점은 바로 "지분 거래의 자유도"에 있습니다. 지분거래 자유도가 가장 높은 회사는 어떤 유형일까요? 맞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것처럼, 주식회사의 지분거래가 가장 자유롭습니다. 이와 달리 유한회사와 유한책임회사의 지분은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거나 판매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유한회사와 유한책임회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유한회사는 법적으로 이사 선임과 사원총회를 필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유한책임회사는 이사 선임과 사원총회가 법적인 의무는 아닙니다.
3. 주식회사의 특징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주식회사의 중요한 특징은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주식을 사서 주주가 된다면, 우리는 주식을 구매한 만큼만 회사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의 가격은 절대 마이너스가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이 투자 원금 손실 위험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위 5개 유형의 회사 중에서 투자자의 손실이 가장 적고, 지분 거래가 용이하기 때문에 자본 확보또한 쉽고, 회사 경영권이 주식 비중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회사는 주식회사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식회사의 의사결정 기구는 이사회입니다. 이사들로 구성된 이사회는 대표이사를 선출하는 기능도 수행합니다.
4. 지주회사
주식회사와 헷갈리는 개념이 지주회사입니다.
지주회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대주주 개념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대주주는 회사 주식의 일정기준 이상 소유한 주주를 말합니다. 대주주는 개인이 될 수도 있고, 법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장 많은 주식을 소유한 주주는 최대주주라고 합니다. 이처럼 회사의 주식을 많이 보유해 회사의 운영권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가 지주회사입니다.
현재는 대개 창업자가 대주주인 경우가 많고, 대주주가 최고경영자인 기업도 많습니다. 통계적으로는 대주주가 최고경영자가 아닌 기업이 더 높은 성과를 보인다고 하네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도 모두 대주주와 다른 전문경영인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지주회사 : 회사의 운영권을 목적으로 주식을 보유하기 위해 세워진 회사
오늘은 여기까지 주식회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경매의이해 (0) | 2023.05.15 |
---|---|
재무제표 (1) | 2023.05.12 |
EU 핵심원자재법, 탄소중립사업법 (0) | 2023.04.20 |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0) | 2023.04.17 |
환율의 변동과 그 영향 (1)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