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경제

재무제표

by 다다정 2023. 5.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무제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이 참 많아진 요즘, 대부분 재무제표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텐데요. 그만큼 재무제표는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하는 투자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래에서는 재무제표의 개념과 읽는 방법, 재무제표가 왜 투자의 기본이 되는 정보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재무제표 개요


재무제표라는 단어를 뜯어보면, “재무에 관련된 모든 것의 표”라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Financial statements라고 합니다. 위 뜻처럼 재무제표에는 기업의 재무와 관련된 모든 것이 담겨있습니다.

2.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이유


이 부분은 주식회사에 대해 작성한 지난 글을 참고하시면 더욱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2023.05.09 -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경제] - 주식회사의 개념

 

주식회사의 개념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회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정말 많은 분들이 주식투자를 하고계실텐데요. 우리가 거래하는 주식을 발행하는 그 회사 "주식회사"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알

091l3.tistory.com


주식회사라는 개념 자체가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개인의 자본만으로는 운용이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의 투자를 받고 주인의 권리를 인정해 주는 증서로 주식을 주는 것이라고 했었는데요.

 

이처럼 대부분 기업은 다른 사람의 돈, 은행의 돈을 빌려다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움직이는 자금도 커지고 빌리는 돈의 규모도 커지기 마련입니다. 은행이든 채권자든 개인이든 사업을 위해 기업에 돈을 빌려주게 된다면 원금을 돌려받는 것은 물론이고 이자나 배당소득과 같은 추가적인 이득을 요구합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주주들은 투자한 기업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투자금을 잘못된 곳에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기업 내외부에서 기업의 재무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숫자로 파악하고 이에 근거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재무제표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회계”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3. 재무제표의 종류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기업의 재무제표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처음 말했듯이 재무 상태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일종의 경영활동 보고서이다 보니 담고 있는 정보도 방대하고, 하나의 표로 정리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표에 나뉘어 나타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회계기준으로 채택한 <국제회계기준>의 기본 재무제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결 재무상태표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 주석
  • 가장 이른 기간의 재무상태표

각 재무제표를 하나하나 살펴보면, 재무상태표는 과거에는 대차대조표라는 이름으로 쓰였던 표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대한 법률> 등에서 공식적으로 대차대조표에서 재무상태표로 이름을 바꾸었음에도 여전히 많은 문서에 대차대조표라는 이름으로 쓰이곤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이라는 항등식을 기초로 좌측의 차변과 우측의 대변에 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기록하는 표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회계연도마다 기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과 비용을 담고 있고, 현금흐름표는 현금과 현금성 자산의 흐름만 담고 있으며 자본변동표는 회사에 대한 주주들의 구성이 어떻게 변했는지 나타냅니다.


상법에서는 회사의 종류에 따라 공개해야 하는 재무제표의 종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무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 합명회사와,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으로 구성된 합자회사는 재무상태표에 대해서만 필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나 자본변동표 등 나머지 재무제표에 대해서는 필수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 유한책임회사와 유한회사, 주식회사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필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위에서 설명한 기본 재무제표는 아닙니다. 이는 결손금 처리계산서라고도 불리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점이, 주식회사는 외부감사 대상인 기업과 아닌 기업이 있습니다. 외부감사 대상인 기업의 경우에는 위 재무제표에 더불어 현금흐름표와 주석을 필수로 제출해야 하고, 또한 지배회사의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를 필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가와 지자체의 회계 또한 위와 비슷한 재무제표를 구성하게 됩니다. 재정상태표와 재정 운영 표, 순자산 변동표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경우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으로 위와 동일합니다.


지금까지 재무제표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