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한국석유공사는 에너지 분야의 23년 전망과 관련하여 10가지 예측을 발표하였다. 한국석유공사는 Petronet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국내외 석유산업에 관한 정보 간행물을 발간하고, DB화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하고 있다. 10가지 예측은 다음과 같다.
1. 미국 주도로 저탄소 에너지 투자가 늘어날 것이다.
미국이 발표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의 시행으로 저탄소 에너지 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시행된 이 법안은 풍력, 태양광 사업에 대한 세금 감면과 보조금 혜택 확대를 포함하고 있어 저탄소 투자 확대를 의미한다. 미국의 이러한 저탄소 에너지 투자 확대는 다른 국가들이 이러한 정책을 따라가도록 할 것이다.
미국의 저탄소 에너지 투자는 중국 견제라는 의미도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보다 경제력, 군사력, 외교력 등 모든 분야에 앞서있지만, 미래 주요 산업인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중국에 뒤처져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세계 패권 유지 측면에서 미국은 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국의 저탄소 에너지 투자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흐름이 될 것이다. 하지만 저탄소 에너지의 핵심인 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해 중국의 원료를 대체할 원료와 소재를 찾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단기간에 미국의 재생에너지 사업이 커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 세계 원유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23년의 원유 수요는 22년보다 증가할 것이다. 중국의 봉쇄 조치 완화와 석유화학 부문 수요 증가로 인해 원유 수요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OPEC(석유수출국기구)은 23년 석유 수요를 전년 대비 2.2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고, IEA(국제에너지기구)는 1.61% 증가, EIA(미국 에너지관리청)는 1.16% 증가를 예상했다. 전반적으로 2% 내외의 석유 수요 증가를 예측한다는 것인데, 이는 지난 20년간 연평균 석유 소비 증가율이 1.2%였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당한 수준이다. 이러한 상승의 원인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의 회귀가 가장 큰데, 경기 침체의 우려가 존재하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긴축 강도도 강하다는 것이 상승을 제한하는 요소로 예상된다.
3. LNG 구매 계약이 감소할 것이다.
23년의 LNG 구매 계약은 전년보다 감소할 것이다. 작년 한 해 동안 LNG 구매 계약이 8천만 톤 이상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계약 감소의 원인은 유럽 국가들의 구매 자제에 있다. 유럽 국가들은 LNG의 장기 수요 전망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여기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특히 석탄 발전 비중이 작아 신재생에너지가 더 쉽게 에너지 수요를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LNG가 있어야 하는 한국과 중국의 경우에는 석탄 발전 비중이 유럽보다 훨씬 높아서 신재생에너지가 석탄 발전 수요를 먼저 대체하고, LNG는 여전히 주요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또한 유럽의 LNG 가격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최근 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구매를 자제하고 가격 하락을 기다릴 것이다.
4. UAE 중심으로 아랍의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증가할 것이다.
아랍에미리트가 아랍의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를 끌어나갈 것이다. 아랍에미리트는 23년 11월 개최될 28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 개최국이다. 이 행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투자 증대를 적극적으로 천명하고 국가 이미지 개선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ADNOC(아부다비 국영 석유회사)는 지난 21년 열렸던 26차 COP26에서 탄소중립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으나 22년 11월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다. 또한 영국의 대형수소 사업인 H2 Teeside 수소 프로젝트에 투자하기도 했다. 또한 태양광, CCUS, 수소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ADNOC의 투자 증대는 중동의 다른 국가들의 투자 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CCUS 허브 프로젝트가 유럽의 주축 사업으로 떠오를 것이다.
CCUS 허브 프로젝트란, 공장, 발전소 등 다수 탄소 배출원으로부터 탄소를 포집해 어느 한 지역에 저장 및 격리하는 사업을 말한다. 다수의 탄소 배출원에서 포집해 운송하므로 운송 시설과 저장 시설이 큰 규모로 필요하다. 이를 통해 CCUS 가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인프라 시설 투자를 통해 사업이 진행되면 유럽 메이저들이 CCUS 허브 프로젝트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CCUS 허브 프로젝트 위치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cushub.ogci.com/ccus-hub-search/
지금까지 한국석유공사가 발표한 2023 에너지 전망 10가지 중 5가지를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에너지 전망은 다양한 산업과 맞닿아있어 꼭 알아두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6~10번까지의 전망은 다음 글에서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 > 조선,해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의 개념과 역사 (0) | 2023.04.16 |
---|---|
23년 에너지 전망(2) - 한국석유공사 (0) | 2023.04.12 |
바이오연료 (0) | 2023.04.11 |
선박 대체연료 (0) | 2023.04.11 |
선박금융의 이해(1) (0)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