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조선,해운14

23년 선박 시황보고 (2) - MSI 이전 글에 계속해서 MSI 2023 조선 시황보고서를 요약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전체 선종의 개요와 드라이벌크선 위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유조선과 컨테이너선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라이벌크선에 대한 정보는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 조선소에서는 드라이벌크선보다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이 주요 건조 선종인만큼, 이에 대해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3.04.19 - [취준생을 위한 전공정보/조선,해운] - 23년 선박 시황보고 (1) - MSI 23년 선박 시황보고 (1) - MSI 1. 개요 MSI(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 은 영국의 해운 시황 분석 전문기관이다. 이 기관에서는 분기별로 주요 선종별 보고서를.. 2023. 4. 19.
23년 선박 시황보고 (1) - MSI 1. 개요 MSI(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 은 영국의 해운 시황 분석 전문기관이다. 이 기관에서는 분기별로 주요 선종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러한 보고서는 해운시장에 대한 전문적인 시각을 기르고, 향후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조선업/해운업 종사자 또는 취업준비생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라고 볼 수 있겠다. 한국에서는 KOBC(한국해양진흥공사)에서 독점 계약을 맺어 한글 요약본을 배포하고 있다. 이를 좀 더 읽기 쉽게 정리해 보았다. 원문 보고서는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https://kobc.or.kr/ebz/shippinginfo/reportSpecial/view.do?mId=0203000000&crtrYmd=2023-0414&.. 2023. 4. 19.
선박의 건조 공정 요즘 조선업이 다시 활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조선업계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고 있는 만큼 취업을 희망하는 분들도 많으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면접 등의 과정에서 건조공정을 직접적으로 언급할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이에 대해 알고 있고 혹시나 관련 질문이 나왔을 때 답변할 수 있다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이 정도만 알고 가도 충분하기도 하고요. 선박의 건조 공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선박은 규모가 크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도 훨씬 복잡한 공정을 거친다. 수많은 기기와 기자재를 블록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움직일 수 있는 동체를 만드는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선박 건조의 큰 특징 중 하나는 계획 생산이나 사전 생산이 아닌 선주로부터 주문 이후 건조.. 2023. 4. 16.
선박의 개념과 역사 (2) 1783년 헨리 코트가 새로운 제철법을 개발하면서 등장한 철선은 19세기에 계속 발전했다. 크기와 성능이 향상되고 수도 계속 증가했다. 그레이트 이스턴호는 길이 97m, 폭 15m, 승선자 4,000여 명, 최대속력 15노트로 대서양을 횡단하였는데, 이 그레이트 이스턴호의 출현은 대형 철선의 건조를 더욱 촉진하였다. 이후 1858년이 되면서 Bessemer가 제강법을 발명하였는데, 철보다 튼튼하고 강한 강철이 널리 공급되게 된다. 강철의 공급 덕분에 1862년에는 325톤급 반쉬호가 건조되었다. 1879년에는 더 큰 규모의 상선이 건조되었는데 바로 1,777톤급 로또 마하나 호이다. 로또 마하 나로의 건조 이후 100여 년 동안 선체, 기관은 물론 항해기기 기술과 관련하여 경이적인 발전이 진행되었다. 선.. 2023.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