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희망적금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2년 만기 적금인데 5%의 연이율을 적용하며 은행에 따라 최대 6%의 우대이율이 적용되는 적금상품입니다. 만약 세제 혜택까지 포함한다면 연 10%에 육박하는 이율을 제공하는 상품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좋은 상품인 만큼 누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고 대상자라면 반드시 신청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은 인턴이나 아르바이트 위주로 생활비를 버는 저소득층의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돕는 제도입니다. 한마디로 정부 지원형 적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이 마련한 일부 재원에 정부 보조금을 덧붙여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적금 상품입니다.
2. 지원내용
청년희망적금은 첫 번째로 저축장려금으로 4%를 지급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로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한 적금상품입니다. 일반 적금과 달리 납입액에 따라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해 보면, 매월 50만 원씩 2년간 총 1,200만 원의 적금을 납입할 경우 시중금리에 4%를 추가로 지급받게 되므로 시중금리에 따라 최소 6% 최대 8%의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 시중은행에서 가입하는 적금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좋은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받습니다. 즉, 청년희망적금을 통해 받게 된 이자에 대해 세금을 면제받는다는 것입니다. 일반적금의 경우에는 발생한 이자에 소득세 14%, 지방세 1.4%를 더한 총 15.4%를 세금으로 납부해야합니다. 위의 저축장려금과 함께 계산하면 약 9%의 이자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시중 적금에서는 정말 보기 어려운 이자율입니다.
계산해 보자면, 만약 2%의 시중금리를 가정할 경우 이자소득 21만 원, 이자 비과세 4만 원, 저축장려금 36만 원으로 총 61만 원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세 번째로는 다른 청년 대상 지원 제도와 중복 수혜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청년 정책은 다른 국가나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프로그램을 통해 혜택을 받는 경우에는 지원할 수 없는데요. 이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등과 중복가입이 가능합니다. 위 제도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지원 대상
위처럼 혜택이 좋은 적금인 만큼, 지원 대상도 까다롭게 선정합니다. 지원 대상은 나이 조건과 급여액에 관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단, 병역 기간 이행과 관련하여 군필자의 경우에는 해당 복무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전년도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종합소득 금액에 대해서는 총 급여액이 3,600만 원일 경우에는 기본 공제 후 종합소득 금액이 2,600만 원이 됩니다. 만약 직장인이 아닌 프리랜서나 사업자의 경우에는 종합소득 금액 2,600만 원만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가입 이후 확정된 전년 과세기간 소득이 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저축장려금(4%)만 지급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4. 가입 방법
이렇게 좋은 혜택을 가진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지원 대상까지 알아보았으니 이젠 신청 방법을 알아보아야겠죠. 청년희망적금은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조건이 다르게 되어있으니 아래 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은행명
|
우대금리
|
우대금리 조건
|
KB국민
|
최대
연 1%
|
- 급여이체 우대이율 (연 0.5%p)
- 자동이체우대이율 (연 0.3%p)
- 첫거래 우대이율 (연 0.5%p)
* 해당 조건을 다 충족하였더라도. 최대 연 1%까지만 우대이자율 제공
|
신한
|
최대
연 1%
|
- 신한 인증서(신한 Sign)발급받은 경우 (연 0.2%)
- 머니버스 가입하고 금융자산 1개 이상 연결한 경우(연 0.3%)
- 소득이체실적(50만 원 이상 입금)이 있는 경우 (연 0.5%)
- 상품가입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적금이 없었던 경우 (연 0.5%)
* 해당 조건을 다 충족하였더라도. 최대 연 1%까지만 우대이자율 제공
|
하나
|
최대
연 0.7%
|
- 급여 및 주거래이체 (연 0.2%)
- 신용카드 실적 12회차 이상 (연 0.2%)
- 청약 신규 및 보유 (연 0.2%)
- 마케팅 동의 (연 0.1%)
|
우리
|
최대
연 0.7%
|
- 첫거래 고객 (연 0.5%)
- 출시기념 특별 우대금리 3월 31일까지 가입 시(연 0.2%)
|
NH 농협
|
최대
연 0.5%
|
- 급여이체실적이 112개월 이상 (연 0.3%)
- 은행에서 발급한 NH농협 개인 신용(체크)카드 월평균 20만원 이상 이용실적 (연 0.2%)
|
기업
|
최대
연 0.9%
|
- 종이통장 미발행한 경우 (연 0.3%)
- 당행 급여이체 실적(월 50만원 이상)이 6개월 이상 있는 경우 (연 0.3%)
- 당행 신용(체크)카드 3백만 원 이상 사용하는 경우(연 0.3%)
|
부산
|
최대
연 0.5%
|
-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우대 (연 0.3%)
- 비대면 채널 가입 우대(연 0.2%)
|
대구
|
최대
연 0.5%
|
- 대구은행 개인 IRP 보유 (연 0.1%)
- 대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연 0.2%)
- 자동이체 18회차 입금 (연 0.2%)
|
광주
|
최대
연 0.2%
|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동의 (연 0.1%)
- 무통장·비대면 신규로 예금 가입 (연 0.1%)
|
전북
|
최대
연 0.2%
|
- 자동이체 실적우대 (연 0.2%)
|
제주
|
최대
연 0.5%
|
- 매월 50만원 이상 급여이체 실적 또는 카드대금 이체 실적 보유( 연 0.3%)
- 매월 저축건별 자동이체 거래 시 (연 0.2%)
|
5. 꿀조언
은행마다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그래서 주거래 은행에서 그냥 가입하지 마시고, 꼭 두세 군데의 은행에 방문하여 혜택을 비교한 뒤 가입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지금까지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월급 빼고 다 오르는 팍팍한 세상에서 청년으로 살아남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청년희망적금과 같은 제도는 그래도 이름처럼 청년들에게 삶에 대한 희망을 주는 것 같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시중은행과 비교되지 않는 좋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 꼭 잘 살펴보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청년을 위한 생활정보 > 국가 지원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3배로 늘려주는 적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0) | 2023.05.27 |
---|---|
500만 원으로 꿈 찾기- 경기 청년 갭이어 프로그램 (0) | 2023.05.14 |
취준생에게 최대 540만원을! - 국민취업지원제도 (2) (1) | 2023.04.25 |
취준생에게 최대 540만원을! - 국민취업지원제도 (1) (0) | 2023.04.24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 지급시기, 신청방법 (1) | 2023.04.17 |
댓글